Pmp
T43 일본어 입력
행복한하루
2007. 8. 18. 02:37
이번 글은 T43에서 일본어 입력하는 방법입니다.
미리 말씀드리지만, 그렇게 편리하고 깔끔한 방법은 아닙니다. 글자를 하나씩 찾아서 입력해야 하는 방법인데, 없는거 보단 낫다고 생각하고 쓰고 있습니다. ^^
다들 아시다시피 T43은 상용으로 사전을 팔고 있습니다. (근데 요세 홈쇼핑 채널에서 M43 선전하는거 보면 그냥 사전이 들어가 있는거 같습니다. ㅎㅎ) 사고 싶은 마음이야 굴뚝같지만, 그냥 공짜 사전(ZBEDic)에 만족하면서 살고 있습니다.
영한/한영 사전이야 기존 자판으로 입력이 되는데, 일한 사전을 깔고 나서 아무리 찾아봐도 T43에는 일본어를 입력하는 부분이 없었습니다. (상용 사전을 구입하면 일본어 입력기가 추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. ^^)
처음에 유니코드에 보면 일본어가 있다는 얘기를 듣고 제 T43에도 있는지 찾아봤습니다. 근데 일본어는 들어 있지 않았습니다.
그래서 유니코드를 새로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.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.
1. unifont_160_50.qpf 다운로드
먼저 일본어가 들어가 있는 유니폰트 파일을 다운 받아야 합니다. www.pmpinside.com 나 www.poriter.com (poriter의 경우에는 T43>자료실에서 폰트로 찾으셔도 되고 유니코드로 찾으셔도 됩니다.)에 들어가서 자료실에서 유니코드로 찾으시면 됩니다.
이렇게 다운 받은 파일을 T43으로 옮깁니다.
USB 연결된 상태에서 보이는 디렉토리로 옮겨야 되는데 제 경우에는 Text라는 디렉토리에 넣었습니다.
2. Tree Explorer 실행
먼저 유니코드를 설치 하기 위해서는 Tree Explorer가 필요 합니다. (Tree Explorer가 없이 다른 방법으로 copy 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. ) 기존에 Tree Explorer가 설치되어 있다면 먼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 시킵니다.
3. unifont_160_50.qpf 파일 copy
Tree Explorer에서 /mnt/hd/Text 로 가 보시면 아까 T43으로 옮겼던 unifont_160_50.qpf 파일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 파일을 /opt/Qtopia/lib/fonts 디렉토리로 옮기시면 됩니다. (옮기는 방법은 Tree Explorer의 편집>잘라내기와 붙여넣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. )
4. 일본어 입력 테스트
유니코드 폰트가 설치가 되면 zbedic을 실행시켜 보시기 바랍니다. 그리고 일한 사전에서 키보드 유니코드를 선택하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Uni 라는 마크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여기서 히라가나 (Hiragana)를 선택하시면 히라가나 (Hiragana)를 찾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.
가타가나 (Katakana)도 마찬가지입니다. Katakana를 선택하면 글자들을 볼 수 있는데, 이중에서 선택하시면 됩니다.
5. 맺음말
앞서 말씀드렸듯이 그렇게 편리한 방법은 아닙니다. 근데 아쉬운 대로 쓸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이 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. ^^
하루 빨리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오기를 바라고 있습니다.
미리 말씀드리지만, 그렇게 편리하고 깔끔한 방법은 아닙니다. 글자를 하나씩 찾아서 입력해야 하는 방법인데, 없는거 보단 낫다고 생각하고 쓰고 있습니다. ^^
다들 아시다시피 T43은 상용으로 사전을 팔고 있습니다. (근데 요세 홈쇼핑 채널에서 M43 선전하는거 보면 그냥 사전이 들어가 있는거 같습니다. ㅎㅎ) 사고 싶은 마음이야 굴뚝같지만, 그냥 공짜 사전(ZBEDic)에 만족하면서 살고 있습니다.
영한/한영 사전이야 기존 자판으로 입력이 되는데, 일한 사전을 깔고 나서 아무리 찾아봐도 T43에는 일본어를 입력하는 부분이 없었습니다. (상용 사전을 구입하면 일본어 입력기가 추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. ^^)
처음에 유니코드에 보면 일본어가 있다는 얘기를 듣고 제 T43에도 있는지 찾아봤습니다. 근데 일본어는 들어 있지 않았습니다.

유니코드
그래서 유니코드를 새로 설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.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.
1. unifont_160_50.qpf 다운로드
먼저 일본어가 들어가 있는 유니폰트 파일을 다운 받아야 합니다. www.pmpinside.com 나 www.poriter.com (poriter의 경우에는 T43>자료실에서 폰트로 찾으셔도 되고 유니코드로 찾으셔도 됩니다.)에 들어가서 자료실에서 유니코드로 찾으시면 됩니다.
이렇게 다운 받은 파일을 T43으로 옮깁니다.
USB 연결된 상태에서 보이는 디렉토리로 옮겨야 되는데 제 경우에는 Text라는 디렉토리에 넣었습니다.
2. Tree Explorer 실행
먼저 유니코드를 설치 하기 위해서는 Tree Explorer가 필요 합니다. (Tree Explorer가 없이 다른 방법으로 copy 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. ) 기존에 Tree Explorer가 설치되어 있다면 먼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 시킵니다.

Tree Explorer 설치 확인
3. unifont_160_50.qpf 파일 copy
Tree Explorer에서 /mnt/hd/Text 로 가 보시면 아까 T43으로 옮겼던 unifont_160_50.qpf 파일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unifont 파일 찾기
이 파일을 /opt/Qtopia/lib/fonts 디렉토리로 옮기시면 됩니다. (옮기는 방법은 Tree Explorer의 편집>잘라내기와 붙여넣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. )

unifont 파일 copy하기
4. 일본어 입력 테스트
유니코드 폰트가 설치가 되면 zbedic을 실행시켜 보시기 바랍니다. 그리고 일한 사전에서 키보드 유니코드를 선택하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Uni 라는 마크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그리고 여기서 히라가나 (Hiragana)를 선택하시면 히라가나 (Hiragana)를 찾아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.

히라가나 입력
가타가나 (Katakana)도 마찬가지입니다. Katakana를 선택하면 글자들을 볼 수 있는데, 이중에서 선택하시면 됩니다.

가타가나 입력
5. 맺음말
앞서 말씀드렸듯이 그렇게 편리한 방법은 아닙니다. 근데 아쉬운 대로 쓸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이 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. ^^
하루 빨리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오기를 바라고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