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글에서 쓴거처럼 9월에 테라텀 4.60 이 Release 되었습니다.
그리고 이번 테라텀 4.60 에 포함된 기능중에 "Added support for Korean language" 라는게 있는데, 이번 글에서는 해당 기능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.
(참고로 이번 예제에서 사용한 리눅스는 페도라9 (Fedora 9) 입니다. 페도라9 (Fedora 9) 에 테라텀 4.60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가지고 Added support for Korean language 를 알아보겠습니다.)
먼저 페도라9 (Fedora 9)가 설치되어 있는 리눅스 서버에 테라텀을 이용하여 접속을 합니다.
처음 페도라 9 (Fedora 9)를 설치한 후 어떠한 설정도 변경을 하지 않았다면, "ls" 를 실행했을 때 한글로 된 디렉토리가 깨져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테라텀 접속 화면
General setup
Terminal setup (변경전)
Terminal setup (변경후)
이렇게 설정하는 이유는 페도라 9 (Fedora 9)의 locale 정보 때문입니다.
(해당 리눅스 서버의 locale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locale 이라는 명령을 입력하면 됩니다.)
페도라 9 (Fedora 9) 의 locale 정보를 보면 ko_KR.UTF-8 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테라텀에서 위와 같이 설정을 하는 것입니다.
페도라9 locale 정보
이렇게 설정을 하고 나서 다시 접속을 하면 한글 디렉토리 이름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change directory 도 정상적으로 동작을 합니다.
한글 UTF-8 적용 화면
7zip 파일 나누기 (0) | 2009.03.03 |
---|---|
GIMP로 카메라 정보 지우기 (EXIF 지우기) (4) | 2009.02.10 |
테라텀 UTF-8 한글 이용 (0) | 2008.10.16 |
테라텀 (Tera Term) 4.60 이 Release 되었습니다. (0) | 2008.09.25 |
RSA를 이용한 테라텀 SSH (0) | 2008.08.15 |
파비콘 (Adsen FavIcon v1.0) (0) | 2008.05.07 |